NIS(Network Information Service)
NIS 와 NSF를 하기 전에
ntsysv로 iptables 를 꺼놓고 시작한다.
네트워크의 관리를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. 네트웍 정보 서비스를 가동한다. | |
서버 세팅하기 | Rpm 또는 yum 으로 ypserv 와 rpcbind 와 ypbind yptool를 설치한다.! |
# vi /etc/sysconfig/network 설정 : HOSTNAME=서버의 호스트 이름 추가 : NISDOMAIN=도메인 이름 | |
# vi /etc/hosts 추가 : 클라이언트ip 클라이언트 이름 | |
# vi /etc/yp.conf 추가 : domain 도메인이름 server 서버의 호스트 이름 Ypserver 서버의 호스트 이름 | |
# vi /var/yp/Makefile 변경 : MERGE_PASSWD=false MERGE_GROUP=false 추가 : all : passwd shadow | |
# service rpcbind restart # service ypserv restart # service yppasswdd restart # chkconfig rpcbind on # chkconfig ypserv on # chkconfig yppasswdd on | |
방화벽과 selinux 는 disabled 시켜야 한다. 재부팅 후 # iptables –F # vi /etc/selinux 에 SELINUX 에 disabled 로 변경 | |
# /usr/lib64/yp/ypinit –m 호스트를 추가하거나 ctrl + d 로 다음단계 진행 y/n 으로 다음단계 진행 | |
# vi /etc/sysconfig/authconfig 변경 : USENIS=yes로 | |
# vi /etc/nsswitch.conf 추가 : passwd,shadow,group,hosts에 -> nis | |
# cd /var/yp # make | |
# service ypbind restart
| |
클라이언트세팅 | Yum 혹은 rpm 으로 rpcbind ypbind yptool설치 |
# vi /etc/hosts 추가 : 서버ip 서버호스트네임 | |
# vi /etc/yp.conf 추가 : domain 도메인이름 server 서버호스트이름 | |
# vi /etc/sysconfig/network 추가 : NISDOMAIN=도메인이름 | |
# vi /etc/sysconfig/authconfig 변경 : USENIS=yes | |
# vi /etc/nsswitch.conf 추가 : passwd,shadow,group,hosts에 -> nis | |
# service rpcbind restart # service yppasswdd restart # service ypbind restart | |
슬레이브세팅 | 슬레이브는 우선 클러스터 세팅을 한후 시작한다. |
| ypserv 설치-s # rpm –ivh ypserv-2.19-22.el6.x86_64 |
| # /usr/lib/yp/ypinit –s <마스터 nis 서버이름> # /user/lib/yp/ypinit –s dog.server |
'OS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] How to SSH (0) | 2016.03.10 |
---|---|
[linux] how to RSH (0) | 2016.03.10 |
[NFS] 환경구성 정리 (0) | 2016.03.10 |
[OpenMPI] OpenMPI설치 (1) | 2016.03.10 |
[Linux] 기초 (0) | 2016.03.10 |